외부 API의 테스트 코드 외부에서 제공하는 API를 사용하여 개발한 기능도 다른 기능들과 마찬가지로 테스트코드를 작성해야한다. webClient를 이용하여 외부API를 사용하는 기능을 만든 경우에 webTestClient의 인스턴스를 통해 테스트를 진행하면 외부API를 사용하는 로직의 동작을 테스트할 수 있지만 그 과정에서 실제 외부 API를 호...
외부 API 불러오기 서버는 경우에 따라서 데이터베이스 뿐만 아니라 외부 서버와 통신을 해야하는 경우가 존재한다. 외부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를 가져오거나 외부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가 대표적이다. 스프링 프레임워크에서 외부 API를 호출하는 방법은 대표적으로 RestTemplate과 WebClient가 있다. RestTempla...
디렉터리 구조란? 파일 시스템에서 파일 및 하위 디렉터리를 조직화하는 방식을 나타내며, 프로젝트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컴퓨터 프로그램에서 사용된다. 자바에서는 디렉터리의 구분으로 패키지를 구분하기 때문에 패키지 구조라고도 불린다. 효율적인 파일 관리, 코드 구성, 자원 관리 등을 위해 다양한 디렉터리 구조가 사용되며, 디렉터리 구조...
스프링(Spring) 스프링 프레임워크(Spring Framework)는 자바 플랫폼을 통해 오픈소스 어플리케이션을 만들기 위한 프레임워크로 줄여서 스프링으로 불린다. 경량 컨테이너 스프링은 경량 컨테이너로서 객체를 직접 관리한다. 이 때 스프링 컨테이너가 관리하는 자바 객체를 스프링빈이라고 한다. 개발자는 자바 객체를 스프링 빈으로 등록할 수...
DML이란?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조작하기 위해 사용하는 명령어이며 종류는 아래와 같다. SELECT(검색) INSERT(추가) UPDATE(수정) DELETE(삭제) SELECT 기본 형태 아래의 명령어를 통해 원하는 column에 속하는 데이터를 검색 후 출력 select (distinct) [column이름] (a...
DDL이란? 데이터베이스의 스키마를 정의하거나 조작하기 위해 사용하는 명령어이다.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와 제약조건에 대한 전반적인 명세를 기술한 것을 말한다. 즉, 데이터베이스 내에 어떤 구조로 데이터가 저장되는지를 나타내는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스키마라고하며 테이블은 스키마에 해당한다. DDL의 종류는 아래와 같다. CREATE(...
테이블이란? RDBMS에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본적인 구조이며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해도 자동으로 생성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직접 생성해주어야 한다. 테이블은 한 개 이상의 column과 0개 이상의 row로 구성된다. Column 데이터의 타입 및 크기를 가지고 있으며 특정 종류의 데이터를 나타낸다. Ro...
SQL이란? 데이터를 보다 쉽게 검색하고 추가, 삭제, 수정 등의 조작을 할 수 있도록 고안된 컴퓨터 언어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조작하고 쿼리하는 표준 수단 DML (Data Manipulation Language): 데이터를 조작하기 위해 사용 INSERT, UPDATE, DELETE, SELECT 등 ...
DBMS?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는 데이터를 만들고 저장 및 관리하는 기술 또는 해당 기능을 제공하는 응용 프르그램을 의미한다. MySQL, MariaDB, PostgreSQL등 여러가지 종류가 있다. MySQL? MySQL은 가장 많이 사용되는 오픈소스 DBMS로 SQL이라고 하는 구조화된 쿼리 언어를 사용...
객체지향 생활 체조 원칙이란? 객체지향 생활 체조 원칙은 ‘The ThoughtWorks Anthology’라는 책에서 제시하는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을 구현하기 위한 9가지 원칙이다. 객체지향적 설계와 구현은 이론만 공부한다고 해서 되는 영역이 아니라 연습과 경험의 영역이다. 따라서 객체지향 생활 체조 원칙은 9가지 원칙을 통해 객체지향을 구현하는...